본문 바로가기
코딩테스트/프로그래머스

[스택/큐] Level 2 기능개발

by 의정부핵꿀밤 2022. 1. 2.
728x90

문제 설명

  • 프로그래머스 팀에서는 기능 개선 작업을 수행 중입니다.
  • 각 기능은 진도가 100%일 때 서비스에 반영할 수 있습니다.
  • 또, 각 기능의 개발속도는 모두 다르기 때문에 뒤에 있는 기능이 앞에 있는 기능보다 먼저 개발될 수 있고, 이때 뒤에 있는 기능은 앞에 있는 기능이 배포될 때 함께 배포됩니다.
  • 먼저 배포되어야 하는 순서대로 작업의 진도가 적힌 정수 배열 progresses와 각 작업의 개발 속도가 적힌 정수 배열 speeds가 주어질 때 각 배포마다 몇 개의 기능이 배포되는지를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하세요.

 

제한 사항

  • 작업의 개수(progresses, speeds배열의 길이)는 100개 이하입니다.
  • 작업 진도는 100 미만의 자연수입니다.
  • 작업 속도는 100 이하의 자연수입니다.
  • 배포는 하루에 한 번만 할 수 있으며, 하루의 끝에 이루어진다고 가정합니다. 예를 들어 진도율이 95%인 작업의 개발 속도가 하루에 4%라면 배포는 2일 뒤에 이루어집니다.

 

입출력 예시 및 설명


이거 생각보다 고민을 많이 했다

풀고나니까 되게 쉬운데 알고리즘 고민하는데 하루, 오류 잡는데 하루 걸림;;

어쩌다보니 데크(deque)로 풀긴 했는데 음...

일단 코드를 보면서 설명을 해보겠다!

 

파이썬 코드)

import math
from collections import deque

def solution(progresses, speeds):
    answer = []
    days = deque()
    for i in range(len(progresses)):
        rest = 100 - progresses[i]
        days.append(math.ceil(rest/speeds[i]))

    while(len(days)>0):
        count = 1
        max_day = days.popleft()
        while(len(days)>0):
            if days[0]<=max_day:
                count += 1
                days.popleft()
            else:
                break
        answer.append(count)
    
    return answer

우선 반복문을 돌면서 모든 작업들의 걸리는 시간을 deque에 저장한다

그리고 deque가 빌 때까지 반복하면서 만약 다음 작업일이 현재 작업일보다 짧으면 count를 늘려가며 작업을 큐에서 제거하고, 아니면 거기서 멈춘 후 answer에 완성된 기능의 개수(count)를 추가한다

내가 시간낭비를 한 부분은 저기 현재 작업일과 다음 작업일을 비교하는 과정에서 <=를 해야하는데 등호를 추가 안했다..

작업일 수가 같아도 반환이 가능한데 그 생각을 못했다,,,에혀,,

그래도 저거 고치니까 바로 성공뜨더라,,ㅋㅋ

어때 알고리즘은 그렇게 안어렵지?!

 

이건 참고한 파이썬 데크 사용법!

https://leonkong.cc/posts/python-deque.html

 

 

C++ 코드)

#include <string>
#include <vector>
#include <queue>
#include <cmath>
#include <iostream>

using namespace std;

vector<int> solution(vector<int> progresses, vector<int> speeds) {
    vector<int> answer;
    queue<int> days;
    
    for(int i=0;i<progresses.size();i++)
    {
        int day = ceil((100-progresses[i])/(speeds[i]*1.0));
        days.push(day);
    }
    
    while(!days.empty())
    {
        int max = days.front();
        days.pop();
        int count = 1;
        while(!days.empty())
        {
            if(days.front()<=max)
            {
                count++;
                days.pop();
            }
            else break;
        }
        answer.push_back(count);
    }
    return answer;
}

이것도 파이썬과 거의 동일하게 작성했다

아니 그냥 똑같이 한듯?

queue 자료구조 이용한 거랑 큐 관련 함수들 사용법 빼고는 완전 똑같아서 금방 해결했다!

 

 

이건 구현하면서 참고한 c++ 큐 사용법!

https://twpower.github.io/76-how-to-use-queue-in-cpp

 

[C++] C++ STL queue 기본 사용법과 예제

Practice makes perfect!

twpower.github.io

 

 

끝!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