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야미스터디/Spring14

나는야 다국어 전문가(호소인)! - feat. Locale 🙌 개요최근에 회사에서 다국어 번역 관련 업무를 처리하게 되면서 Locale에 대해 다루는 일이 많아졌습니다.저는 사이드 플젝할 때 대략적으로만 사용만 해봤지 정확히 어떻게 사용해야 좋은 코드인지 고민하며 작성해보는 것이 이번이 처음이라, 이왕이면 이에 대해 공부하며 기록하고 좋은 코드를 작성해보고자 합니다 :-) 🧐 Locale에 대해 알아보쟈!Locale 이란?나라, 언어 등 지역들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는 자바 객체이다이는 Accept-Language 헤더, request params, Cookie/Session 등의 방법을 통해 Locale을 사용할 수 있다 Locale 형식language[_territory][.codeset][@modifier]위와 같이 언어, 지역, 코드셋의 3개의 값을 .. 2024. 10. 28.
[💚] Spring Cloud ☁️ 팀 내에서 한 달에 한 번 팀원들이 돌아가면서 발표를 하는 테크톡을 진행한다테크톡의 컨셉은 우아한형제들의 테코톡!간단한 주제로 20분 내로 발표하고 큰 주제라면 마중물을 떠주는 느낌, 작은 주제라면 세부적인 스펙을 설명하는 느낌이다 올해는 나도 테크톡에 참여하여 발표를 하게 되었다!이번 테크톡의 개략적인 주제는 JDK 버전별 특징, 스프링 생태계 요런 느낌!그래서 나는 Spring Cloud로 주제를 잡았고 꽤나 큰 주제라 마중물을 뜨는 느낌으로 주요 아키텍처의 특징만 살펴보려고 한다 🧐 들어가기 전에..클라우드 네이티브 애플리케이션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에 최적화되어 설계, 개발, 배포되는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주요 특징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 : 애플리케이션을 작은 단위의 마이크로서비스로 분리하여 개발하.. 2024. 9. 6.
[Spring] IoC, DI, AOP 📌 - 작성중 IoC (Inversion of Control / 제어의 역전) 객체의 생성, 생명주기의 관리까지 모든 객체에 대한 제어권이 바뀌었음을 의미한다 어떤 객체가 사용하는 의존 객체를 직접 만들어 사용하는 것이 아닌, 주입 받아서 사용하는 방법을 말한다 Spring Framework가 IoC 컨테이너 기능을 제공한다 IoC 컨테이너 : 객체의 생성을 책임지고 의존성을 관리한다 *POJO의 생성, 초기화, 서비스, 소멸에 대한 권한을 갖는다 인스턴스의 생명 주기를 개발자가 아닌 컨테이너가 대신 관리해주기 때문에 개발자는 로직에만 집중이 가능하다 💡 POJO(Plain Of Java Project) : 객체지향적인 원리에 충실하면서 환경과 기술에 종속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 재활용할 수 있는 방식으로 설계된 오브젝.. 2022. 11. 29.
[Spring] Swagger 📌 https://github.com/xx10222/selab-todo-list/wiki/Swagger GitHub - xx10222/selab-todo-list: SELAB TODO-LIST STUDY SELAB TODO-LIST STUDY. Contribute to xx10222/selab-todo-list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 github.com 투두리스트를 하면서 위키에만 정리해뒀던 Swagger,, 내일 스터디 발표를 위해 그냥 각잡고 정리를 하려고 한다! 🖐 문서화의 필요성 일반적으로 웹 서비스를 구현하면 간단한 구조더라도 위와 같은 형태를 유지한다 이런 구조로 개발하거나 유지보수를 진행할 경우, 해당 API 서버가 어떤 Spec을 가진.. 2022. 10. 6.
[Spring] Dispatcher Servlet 📌 🖐 들어가기 전에! Web Server (웹 서버) 인터넷을 기반으로 클라이언트에게 웹 서비스를 제공하는 컴퓨터 그러나 웹 서버에서 제공할 수 있는 데이터는 웹에서 처리가 가능한 HTML, CSS, 이미지 등의 정적인 데이터로 한정된다 WAS (Web Application Server) Web Application : 웹에서 실행되는 응용 프로그램 WAS는 웹 애플리케이션과 서버 환경을 만들어 동작시키는 기능을 제공하는 소프트웨어 프레임워크이다 WAS에서는 비즈니스 로직도 수행이 가능하다 쉽게 생각하면 웹 서버 + 웹 컨테이너 형태라고 생각하면 된다! 컨테이너란 jsp, servlet을 실행시킬 수 있는 소프트웨어이다 자바 계열에서는 웹 애플리케이션 컨테이너라고도 불리며, 웹 애플리케이션에 배포되는 공간.. 2022. 9. 20.
[Spring] Spring vs EJB 📌 🖐 들어가기 전에 EJB(Enterprise Java Beans)를 공부하기 전에 먼저 Java Beans에 대해 간단하게 알아보자 🥜 Java Bean(자바 빈) Java Bean이란 Java로 작성된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를 말한다 Java는 프로그램 기본 단위가 클래스이고, Java Bean은 그 클래스들이 복합적으로 이루어진 구조를 말한다 Java Bean은 데이터를 표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자바 클래스로, 컴포넌트와 비슷한 의미로도 사용된다 Java Bean은 단순히 Java 언어로 작성된 클래스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아래의 규격에 따라 만들어진 클래스를 의미한다 Java Bean의 규격 클래스는 패키지화 해야 한다 멤버 변수는 프로퍼티(Property)라 칭한다 클래스는 필요에 따라 직렬화.. 2022. 9. 20.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