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야미스터디

MAU? 그게 몬디?

by 의정부핵꿀밤 2023. 6. 7.
728x90

🌱 고민의 시작

개발 블로그나 어떤 서비스를 소개할 때 MAU 기준 몇천명 어쩌구~ 요런 글을 많이 보았다

아래처럼 말이다!

DAU..? MAU..?

그래서 오늘은 이게 무엇인지 알아보려고 한다!

오늘도 야미한 개발 가보자구~

 


🤔 그래서 이게 몬디..?

결론부터 말하자면 서비스의 성장 추이의 중요한 지표들이다

일정 기간동안 해당 서비스를 사용한 사용자 수를 나타낸다

해당 수치들을 통해 서버의 부하나 트래픽을 예측하여 인프라를 최적화할 수도 있다

이러한 수치들을 얻으려면 만들어진 서비스에 적절한 로그 시스템을 부착하고, 해당되는 내용들을 추적/보관/분석 하는 방법을 사용해야 한다

지표의 종류는 아래와 같다

  • DAU, WAU, MAU, YAU
  • MCU, ACU

그럼 종류별로 하나씩 살펴보자!

 


1. DAU (Daily Active Users)

  • 하루동안 서비스를 이용한 순수 이용자 수를 의미한다
  • 게임이나 메신저 회사에서 자주 사용되는 용어로, 실제 게임에 얼마나 많은 사용자가 이용하고 있는지를 측정하는 지표가 된다
  • 유저의 특정 이용 패턴을 분석하는 데에도 적절하고, 단기적인 이벤트의 호응도를 알아내는데도 탁월하다
  • 실시간 이슈 발생 시 가장 영향을 많이 받는 지표이기도 하다
  • DAU는 방문이라는 ‘행동’에 초점을 두는 것이 아닌, 방문한 '사람'에 초점을 둔다
  • 따라서 1명의 사용자가 여러 번 서비스를 방문했더라도, DAU 계산 시 해당 사용자는 1번만 카운팅 된다
  • 즉, DAU는 얼마나 많은 고유의 사용자가 서비스에 방문하는지를 알려준다

 

2. WAU (Weekly Active Users)

  • 일주일 동안 해당 서비스를 이용한 순수 이용자 수를 의미한다
  • 과거에는 매일 접속할 필요가 없는 모바일 뱅킹에서 주로 활용되었다
  • 보통은 DAU를 많이 참고하고, 장기적인 사이클을 분석할 때 WAU를 참고하기도 한다
  • 또한 DAU는 ARPU(Average Revenue Per User, 가입자 당 평균 수익)등을 계산할 때 참고할 수 있다

 

3. MAU (Monthly Active Users)

  • 한 달 동안 해당 서비스를 이용한 순수 이용자 수를 의미한다
  • 보통 해당 서비스가 확보하고 있는 사용자 총 수를 의미한다
  • MAU는 꽤 정착되어 있는 디지털 플랫폼 유저의 충성도를 확인하기 위한 지표로 활용된다
  • MAU가 비교적 꾸준하게 유지되는 서비스는 잘 정착된 서비스라고 할 수 있다
  • MAU를 지속적으로 관찰하고 패턴을 연구하면 단기 이벤트나 고객의 이용 패턴들에 대해서 얻을 수 있다

 

4. YAU (Yearly Active Users)

  • 한 해동안 서비스를 이용한 순수 이용자 수를 의미한다
  • 보통 실제 이용자 추이를 점검하는 지표라기 보다는 총 가입자 수를 확인하기 위한 지표로 활용된다

 

5. MCU (Maximum Current Users)

  • 순간 동시 접속자를 의미한다
  • 보통 실시간으로 수치를 해석한다

 

6. ACU (Average Current Users)

  • 평균 동시 접속 유저수를 의미한다

 

 

🤓 DAU와 MAU를 활용하려면?

  • DAU와 MAU를 측정하기 위해 먼저 해야할 일은 **“활성 사용자(Active User)”**를 정의하는 것이다
    • 어떤 행동을 해야 활동적인 사용자로 간주할 지를 고민해야 한다
    • ex) 서비스 방문, 실제 구매 또는 글을 작성한 사용자 등..
  • 또한 DAU와 MAU가 서비스의 성장의 모든 면을 정확하게 말해주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다양한 지표들과 함께 비교해야 한다

 

🗒️ Stickness

  • DAU / MAU 또는 DAU / WAU
  • 월별 사용자 대비 몇 퍼센트의 사용자가 매일(매주) 서비스를 이용하는지 말해주는 지표이다
  • 이를 통해 서비스가 얼마나 활성화 되었는지 확인이 가능하다
  • 즉, 서비스의 활성도와 매력도를 말해준다!
  • 만약 Stickness가 낮다는 것은 광고 등의 호기심 자극을 통해 사용자의 관심은 끌었지만, 실제로 사용해보니 별로여서 떠나버린 서비스를 의미하기 때문에, 이러한 경우에는 광고보다는 서비스 품질을 높이는 데 주력해야 한다!
  • 보통 DAU/MAU 비율이 20% 이상이면 유저들에게 어느 정도 인기를 얻고 있다고 말하며, 페이스북과 같이 50% 이상이면 훌륭한 서비스라고 평가되곤 한다

 

 


😋 결론.. 근데 느낀점이 더 잘 어울리는..

  • MAU와 DAU는 한 달 또는 하루에 서비스에 방문한 사용자 수였다..!
  • 개발자 분들과 개발 얘기를 하다보면 “최소한 DAU가 어느 정도 되는 서비스가 좋은데..” 이런식으로 말씀하실 때 알아듣는 척만 했는데 막상 찾아보니까 간단한 이야기였다!
  • 실제 서비스를 다뤄볼 일이 있다면 이러한 지표들을 통해 사용자를 분석하고 트래픽 대비를 해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던 시간이었다!

 


[Reference]

https://devkingdom.tistory.com/221

 

DAU, WAU, MAU, YAU

1. DAU Daily Active Users 의 줄인말, 말그대로 하루동안 서비스를 이용한 순수 이용자 수를 의미 게임이나 메신저 회사에서 굉장히 많이 나오는 용어, 실제 게임에 얼마나 많은 사용자가 이용하는지

devkingdom.tistory.com

https://brunch.co.kr/@supims/165

 

MAU, DAU, MCU, ACU

개발과 서비스, 매출과 서비스의 성장 추이의 중요한 지표 | 위의 4가지 단어에 대한 의미를 아시나요? IT업계나 게임업계에서 자주 사용되는 단어입니다. MAU(Monthly Activity User)는 월별 활동한 이

brunch.co.kr

https://kimsyoung.tistory.com/entry/DAU%EC%99%80-MAU%EC%97%90-%EA%B4%80%ED%95%9C-%EC%9D%B4%EC%95%BC%EA%B8%B0

 

DAU와 MAU에 관한 이야기

모바일 마케터라면 아래 질문들을 한 번쯤은 고민해 본 적이 있을 겁니다. "하루 동안 얼마나 많은 사용자가 우리 앱을 사용할까? 한 달 동안은 어떨까?" "유저 활동 지표는 어떤 식으로 봐야 하

kimsyoung.tistory.com

 

728x90

'야미스터디' 카테고리의 다른 글

[Youtube] kafka 조금 아는 척하기 3편 - 컨슈머  (0) 2024.09.16
TPS (Transaction Per Second)  (1) 2023.08.07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