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1. 타입이란?
- 타입은 자료형으로 int, short, float, bool, 객체 등이 있다.
2. 정적 언어
- 정적언어는 타입을 컴파일 시에 결정하는 것이다.
- 변수 선언 시 타입을 지정해주어야 한다.
- 장점 : 컴파일 시에 타입에 대한 정보를 결정하기 때문에 속도가 빠르며, 타입 에러로 인한 문제점을 초기에 발견할 수 있어 타입의 안정성이 높다.
- 단점 : 매번 코드 작성 시 변수형을 결정해야 하기 때문에 번거로움.
- ex) C, C#, c++, Java 등
3. 동적 언어
- 컴파일 시 자료형을 결정하는 것이 아닌 실행 시에 결정한다.
- 따라서 타입 없이 변수만 선언하여 값을 지정할 수 있다.
- 장점 : 런타임까지 타입에 대한 결정을 끌고 갈 수 있기 때문에 많은 선택의 여지가 있다.
- 단점 : 인터프리터 언어는 배우기는 쉽지만, 실행 도중에 변수에 예상치 못한 타입이 들어와 타입 에러가 발생할 수 있다.
- ex) JavaScript, Ruby, Python, SmallTalk 등
728x90
'사이드 프로젝트 > 개발몰입과정[2021_SUMM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1주차 개념 스터디 - Node.js의 BE 또는 FE Library / Framework (0) | 2021.08.01 |
---|---|
1주차 개념 스터디 - 'REST API'란 무엇인가 (0) | 2021.07.31 |
1주차 개념 스터디 - 라이브러리와 프레임워크의 차이 (0) | 2021.07.31 |
1주차 개념 스터디 - npm(yarn)이란 무엇인가 (0) | 2021.07.31 |
1주차 개념 스터디 - node.js란 무엇인가 (0) | 2021.07.3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