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야미로깅14

Swagger와 Spring rest docs, 두마리 토끼 잡기!🐰 도입 계기 테크루키 중간발표 때 API 문서 자동화 Tool에 대해 발표한 적이 있다 아무래도 개발자에게 중요한 소양(?) 중 하나가 문서화라고 생각해서 우리팀은 문서화에 대해 광적으로 집착하였다...ㅋㅋㅋ 암튼! 그 때 swagger와 spring rest docs 중 고민하다가 보다 신뢰성 있는 문서화를 위해 spring rest docs를 채택했다고 하였다 그럤더니 피드백으로 "2가지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는데 굳이 하나만 골라야 했나요?🤔" 라는 말씀을 듣고 띵..했다 그래서 바아로 2가지를 동시에 사용하는 방법을 채택했다고 한다~ 이제 swagger와 spring rest docs의 장단점을 비교해보고 적용 방법과 느낀 점에 대해 간단히 기록하려고 한다! Swagger 장점 API 문서가 자동으.. 2023. 2. 22.
[AWS] 도메인 HTTPS 설정 삽질 기록🪓 때는 DND photalks 프로젝트를 하던 때... 도메인을 구매해서 AWS의 EC2 인스턴스를 연결하는 작업까지는 백엔드의 공쥬 개발자✨가 했었다! 그리고 나에게 주어진 미션.... 난 업데이트라길래 그냥 노션 업데이트 정도 생각했는데 HTTP로 설정된 도메인을 HTTPS로 라우팅 하는 작업이었따! https://kingofbackend.tistory.com/197 [AWS] EC2 인스턴스에 HTTPS 적용하기 정적 웹을 HTTPS로 배포하기에 이어 이번에는 EC2 인스턴스로 배포한 톰캣에 HTTPS로 접근하고자 합니다. [AWS] HTTP to HTTPS로 배포하기 (S3 기준) 이전 글 'Route 53 도메인 구매 후 연결하기'에서 도메인 kingofbackend.tistory.com 공쥬님이.. 2022. 8. 26.
[OOP] 베이스볼 리팩토링 시 고민할 부분 객체지향 공부를 위해서 극락님이 내주신 과제를 하던 중, 달린 코멘트다 오... 내가 모르는 것만 정확하게 집으셨는데... 역시는 역신가... 섭섭한데요... (?) 아무튼! 더욱더 OOP스러운 코드를 구현하기 위해 위의 개념들을 꼬옥 잡고 넘어가려고 한다! 1. 생성자가 하는 일은 무엇일까요? 외부에서 클래스를 사용하기 위해 생성하는 인스턴스를 초기화하는 역할 생성자를 통해서 인스턴스 변수를 초기화한다 (인스턴스 변수에 대한 값을 할당한다) 생성자를 통해서 인스턴스를 생성하면, 인스턴스 변수는 Heap 메모리 영역에 형성되고 이를 호출하여 사용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생성자를 실행시키지 않고는 클래스로부터 객체를 만들 수 없다 new 연산자에 의해 생성자가 성공적으로 실행되면, 힙 영역에 객체가 생성되.. 2022. 8. 22.
[Git] 강제 Pull을 받는 방법 난 코드를 자주 망쳐서 강제로 pull을 받아와서 코드 리셋을 하고 다시 짜는 경우가 종종 있다 좋은 습관은... 당연히 아니지만 그래도 자주 쓰여서 내 블로그에 정리해두려고!! 자꾸 명령어 검색해서 사용하기 번거로와~~ git fetch --all git reset --hard origin/master git pull origin master 아주 간단하쥬? 이렇게 하면 지금까지 작성한 코드는 날아가고 해당 브랜치 코드로 강제 pull이 된다 아무떄나 쓰는건 아니고 내가 고친게 몇 개 없는데 오류가 씨게 나면 냅다 강제로 pull 받고 재 작업할떄 쓰는데.. 회사에서 이런다..? 바아로 혼나겠쥬? 그래도 정리만 해두자는 거지 아웅 깃허브는 공부할수록 어려워~~ 2022. 5. 1.
[Git] 로컬에서 원격 브랜치 삭제하기 로컬 브랜치 삭제 명령어 $ git branch -d [브랜치명] 여기서 브랜치명 쓸 땐 [ ] 빼고 브랜치 이름만 적는거, 다들 RG? 풉킥 왜냐면 내가 예전에 몰랐거든,,ㅋㅋ 원격 브랜치 삭제 명령어 $ git push origin -d [브랜치명] 여기서 orign은 원격 저장소 이름인거, 다들 알G? 막이래~ 2022. 2. 7.
[Github] Pull Request 방법 1. Fork 타겟 프로젝트의 저장소를 내 저장소로 Fork 한다 2. clone, remote 설정 fork로 생성한 내 저장소를 내 데스크톱에 clone한다 $ git clone "http://github.com/xx10222" 저기서 url 부분을 clone할 저장소 url을 입력하면 된다 # 원본 프로젝트 저장소를 원격 저장소로 추가 $ git remote add origin https://github.com/xx10222 # 원격 저장소 현재 설정 확인 $ git remote -v 여기서 origin은 내 저장소의 별명이고 뒤에는 저장소의 url을 입력한다 (난 origin이 익숙해서 그냥 origin으로 사용하는중!) 3. branch 생성 내 데스크톱에서 깃허브로 코드를 추가하는 작업은 br.. 2021. 12. 22.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