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야미스터디/Network13

[Network] 라우터 📌 🖐 들어가기 전에 LAN (Local Area Network) 사용자가 포함된 지역 네트워크 LAN은 이더넷이라는 프로토콜을 주로 사용한다 주로 학교, 회사, 집에서 컴퓨터나 IP 전화기 등의 장비를 연결하는 근거리 통신망이다 이 때 컴퓨터끼리 일대일로 직접 연결하는게 아닌, 공유기나 스위치 등을 이용해서 연결한다 WAN (Wide Area Network) 광범위한 지역 단위로 구성하는 네트워크 LAN과 LAN 사이를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 라우터 (Router) 패킷을 목적지까지 전달하기 위해 다음 네트워크 지점을 결정하는 장치나 컴퓨터 내의 소프트웨어 WAN/인터넷 접속에 사용되는 네트워크 3계층 기기 WAN/인터넷 서비스는 전 세계에 다양하게 존재하며, 서비스마다 접속하는 인터페이스와 프로토콜도 .. 2022. 9. 20.
[Network] HTTP 1, 2, 3 📌 HTTP (HyperText Transfer Protocol) 웹에서 정보를 교환하기 위한 전송 프로토콜 www(world wide web)에서 하이퍼텍스트 문서를 교환하기 위해 사용되는 통신 규약 웹의 기반이자 웹을 이루는 기술의 자체라고 할 수 있다 TCP/IP 프로토콜 위에서 동작하며, 80번 포트를 사용하여 통신한다 HTML 문서, 이미지, 동영상, 오디오, 텍스트 문서 등의 모든 종류의 데이터를 전송한다 HTTP 특징 1) 비연결성 (connectionless) 클라이언트와 서버가 연결을 맺은 후에 응답을 마치면 기존의 연결을 끊는 특성 클라이언트의 연결 유지를 위한 리소스가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더 많은 연결이 가능하다 그러나 서버에서는 클라이언트의 반복된 요청에도 매번 연결 및 해제 과정을 .. 2022. 9. 12.
[Network] cast 📌 🖐 MAC address 네트워크 상에서 서로를 구분하기 위하여 Device마다 할당된 물리적 주소 즉, 인터넷이 가능한 장비(PC, 휴대폰 등)들이 갖는 물리적 주소이다 MAC 주소는 12자리 숫자로 구성되어 있다 숫자 중 앞의 6자리(24bit)는 벤더(제품 제조사)에 할당된다 나머지 6자리(24bit)는 각 벤더에서 제품에 할당한다 컴퓨터에 장착되어 LAN카드를 구별하기 위해 만들어진 식별 번호이다 이는 소프트웨어 대신 하드웨어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실제 주소'라고 표현한다 유니캐스트 (Unicast) 출발지와 목적지가 정확해야 하는 일대일 통신 MAC MAC 으로 출발지와 목적지가 명확히 정해져 있으며, 1:1로 통신한다 송신 노드 하나가 수신 노드 하나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일대일 방식이다 받.. 2022. 9. 2.
[Network] Cookie vs Session 📌 🤔 쿠키와 세션을 사용하는 이유 HTTP 프로토콜의 특징이자 약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쿠키나 세션을 사용한다 기본적으로 HTTP 프로토콜 환경은 Connectionless, stateless 한 특성을 갖기 때문에 서버는 클라이언트가 누구인지 매번 확인해야 한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쿠키와 세션을 사용하게 된다 ❓ HTTP 특징 1 : connectionless - 클라이언트가 요청을 한 후 응답을 받으면 연결을 끊어버리는 특징 - HTTP는 먼저 클라이언트가 request를 서버에 보내면, 서버는 클라이언트에게 요청에 맞는 response를 보내고 접속을 끊는다 - HTTP 1.1에서 연결을 유지하고, 재활용하는 기능이 Default로 추가되었다 (keep-alive 값으로 변경 가능) ❓ HTTP 특징 .. 2022. 8. 4.
[Network] REST API 📌 API란?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의 약자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를 빌드하고 통합하기 위한 정의 및 프로토콜 세트인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를 뜻한다 즉, 응용 프로그램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다른 응용 프로그램을 제어할 수 있게 만든 인터페이스를 뜻한다 API는 프론트엔드와 백엔드가 데이터를 주고 받기 위한 대표적인 방법이다 따라서 API를 사용하면 내부 구현 로직을 알지 못해도 정의되어 있는 기능을 쉽게 사용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 어떤 장치 간 정보를 교환하기 위한 수단이나 방법 REST 란? 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 의 약자 자원(resource)의 표현(representation)에 의한 상태 전달 HTTP 프로토콜을.. 2022. 7. 13.
얄팍한 코딩사전 - REST API가 뭔가요? 🎨API란? - 소프트웨어가 다른 소프트웨어로부터 지정된 형식으로 요청, 명령을 받을 수 있는 수단을 말한다 💻REST API란? - REST API는 정보들이 주고 받아지는데 있어서 개발자들 사이에 널리 쓰이는 방식을 의미한다. - 이는 기술이나 제품이 아니라 형식이기 때문에 언어, 프레임워크에 제한되지 않고 이 폼에만 맞춰서 사용하면 되는것이다! - 과거의 SOAP의 복잡한 형식을 개선한 REST형식의 API를 의미한다. - 각 요청이 어떤 동작이나 정보를 위한 것인지를 요청의 자체 모습만으로 추론이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URI : 자원을 구조와 함께 나타내는 구분자) - HTTP를 기반으로 동작하기 때문에 GET, POST, PUT PATCH, DELETE 등을 사용한다. - POST, PUT,.. 2021. 7. 31.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