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코딩테스트/알고리즘 기초 강의20 2강 자료구조 1 - 스택 자료구조 1 강의에서는 크게 스택, 큐, 덱에 대해 배우는데 스택을 주로 다루고 큐와 덱은 그래프(BFS)에서 자세하게 다룬다고 한다. 스택(Stack)이란 한쪽 끝에서만 자료를 넣고 뺄 수 있는 자료구조이다. LIFO(Last in First Out)라고도 부른다. 그래서 나중에 들어간 데이터가 제일 먼저 나올 수 있다. 위의 그림처럼 스택은 한쪽 끝에서만 자료를 넣고 뺄 수 있는 자료구조로 마지막으로 넣은 것이 가장 먼저 나오기 때문에 LIFO라고 한다. 따라서 만약 데이터를 저장하고 가운데에 저장한 데이터를 pop해야 하는 연산이 필요하다면 이는 스택을 사용하면 안되는 알고리즘이다. 다음은 스택 연산이 종류이다. - push : 스택에 자료를 넣는 연산 - pop : 스택에서 자료를 빼는 연산 - .. 2020. 8. 9. 1강 - 알고리즘 시작 강의를 들을까 말까 고민하고 있는데 밍구가 선뜻 자기 아이디를 알려주었다! 뭔가 미안한데 고맙고 음... 그래서 그냥 강의 살 돈으로 밍구 맛있는거 많이 사줘서 갚기로 했다ㅋㅋㅋ 사룽해 밍구 ios_base::sync_with_stdio(false); -> cin.tie(NULL); -> cout.tie(NULL); 보통 위의 두 줄만 추가해도 충분히 속도가 빨라지고 아래의 두 줄은 cin.tie(nullptr)/cout.tie(nullptr)로도 많이 쓰인다고 한다. 위의 경우를 사용할 경우에는 scanf/printf를 사용하면 안되고 오직 cin/cout만 써야 하므로 주의하자! - cout을 사용할 때 개행문자로 endl을 사용하는데 이를 사용하는 것보다 '\n'을 사용하는 것이 훨씬 속도가 빠르다.. 2020. 8. 6. 이전 1 2 3 4 다음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