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분류 전체보기475

MAU? 그게 몬디? 🌱 고민의 시작 개발 블로그나 어떤 서비스를 소개할 때 MAU 기준 몇천명 어쩌구~ 요런 글을 많이 보았다 아래처럼 말이다! DAU..? MAU..? 그래서 오늘은 이게 무엇인지 알아보려고 한다! 오늘도 야미한 개발 가보자구~ 🤔 그래서 이게 몬디..? 결론부터 말하자면 서비스의 성장 추이의 중요한 지표들이다 일정 기간동안 해당 서비스를 사용한 사용자 수를 나타낸다 해당 수치들을 통해 서버의 부하나 트래픽을 예측하여 인프라를 최적화할 수도 있다 이러한 수치들을 얻으려면 만들어진 서비스에 적절한 로그 시스템을 부착하고, 해당되는 내용들을 추적/보관/분석 하는 방법을 사용해야 한다 지표의 종류는 아래와 같다 DAU, WAU, MAU, YAU MCU, ACU 그럼 종류별로 하나씩 살펴보자! 1. DAU (Da.. 2023. 6. 7.
IntelliJ Live Templates : 인텔리제이로 커스텀 템플릿(단축키) 만들어보기! 🤔 [부제] 다들 백준 코테를 풀다보면 한번쯤을 느꼈을 귀찮음에 대하여... import java.io.BufferedReader; import java.io.IOException; import java.io.InputStreamReader; import java.util.StringTokenizer; public class boj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IOException { BufferedReader b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StringTokenizer st = new StringTokenizer(br.readLine()); int n = Integer.pa.. 2023. 5. 6.
회사가 뽑고 싶어하는 개발자👩‍💻 취준생으로 회사에 지원하다 보면 문득 궁금해 진다 "회사는 어떤 개발자를 뽑고 싶을까?" 이에 대한 고민을 해결할 수 있게 해준 좋은 글이 있어 정리해보았다! 이력서로 살펴보는 선호하는 이력서 인턴 경험이나, 교육 과정, 토이 프로젝트가 있는 개발자 개발에 대한 진정성이 느껴지는 것이 좋다 취업만이 목표인 것보다, 개발 자체를 즐긴다는 근거가 필요하다 토이프로젝트가 많으면 좋고, 개발이 왜 재밌는지 표현하는 것도 필요하다 3-5문장으로 자기소개를 요약, 이에 대한 근거 기재 개발에 진정성이 있다 → 그 뜻이 무엇인지 꾸준하게 노력하는 개발자 → 그 방증의 자료 협업이 잘 되는 개발자 → 예시 사례 주니어일수록 핵심 기술 스택만을 언급 해온 일에서 어떠한 성과가 있었는지 표기 블로그 블로그에서 확인하고 싶.. 2023. 5. 4.
[회고] 급작스러운 새벽 회고 (feat. 게으른 완벽주의자) 우선 회고의 시작부터 말해보겠다. 이번 회고를 하기로 마음 먹은건 버스 안에서 독후감을 작성하던 순간이었다. 내가 지금 읽고 있는 책은 기술적인 내용을 담고는 있지만, 깊이 있게 다루지는 않아서 개발자들 사이에서 ‘출퇴근할 때 가볍게 읽기 좋은 책’으로 유명하다. 나 또한 인턴 생활 때 출퇴근 시간이 아까워서 고민하다 이를 알차게 쓰고자 구매한 책이었다. 실제로 읽어봤을 때도 꽤나 쉬운 내용들이었다. 재미있고 간단한 비유, 가볍게 정의 정도만 하고 넘어가는 지식들.. 그러나 나는 그걸 읽으면서도 과연 내가 제대로 이해를 했는지, 다음날이 되면 오늘 읽은 내용을 잊어버리지는 않을지 등의 고민에 사로잡히게 되었다. 그래서 처음 선택한 방법은 책에 밑줄을 그으며 읽기 였다. 그러면 나중에 다시 보더라도 강조한.. 2023. 4. 26.
[Network] 로드밸런스 🤔 트래픽에 대처할 수 있는 방법 클라이언트의 요청이 많아지면 트래픽이 증가하게 되고, 그에 따라 단일 서버만으로는 정상적인 서비스가 어렵다 따라서 이러한 수많은 트래픽에 대처할 수 있는 방법은 크게 2가지다 Scale-up : 서버 자체의 성능을 높이는 것 Scale-out : 여러 대의 서버를 두는 것 ⭐️ Scale-out 방식의 경우 여러 대의 서버로 트래픽을 균등하게 분산해줘야 하는데, 이 때 로드밸런싱이 필요하다 💡 로드 밸런싱 (Load Balancing) 수많은 트래픽에서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다수의 서버로 분산시켜주는 컴퓨터 네트워크의 기술이다 로드밸런서는 서버에 가해지는 부하(=로드)를 분산(=밸런싱)해주는 장치 또는 기술을 통칭한다 클라이언트와 서버풀* 사이나 네트워크 허브 사이에 위치.. 2023. 3. 30.
[DP] 도둑질 - JAVA [문제] https://school.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42897 프로그래머스 코드 중심의 개발자 채용. 스택 기반의 포지션 매칭. 프로그래머스의 개발자 맞춤형 프로필을 등록하고, 나와 기술 궁합이 잘 맞는 기업들을 매칭 받으세요. programmers.co.kr 예전에 비슷한 문제를 풀어본 기억이 있어서 초기 아이디어는 금방 얻을 수 있었다 근데 뒤에서 생각이 좀 꼬여서 초기 코드는 꽤나 지저분하다,,, 그래도 일단 초기 내 생각을 간단하게나마 정리해보고, 개선된 코드도 뒤에 소개를 해보도록 하겠다! 🤔 DP 배열 정의 먼저 문제에 접근하는 아이디어는 첫집을 터는 경우와 털지 않는 경우로 구분하는 것이다! 첫집을 터는 경우 → 막집을 털 수 없다.. 2023. 3. 28.
728x90